의미:
mights 
might는 조동사 may의 과거형이다. 직설법에서는 보통 시제를 일치시켜서 종속절에서 쓰고, 가정법에서는 should, would, could처럼 시제·인칭에 따른 어형 변화 없이 쓴다.
might1 auxil.
v. may의 과거형
━ A[직설법에서]
1 [간접화법에서 may가 과거형으로 쓰여]
a [불확실한 추측을 나타내어] …
할지[
일지]
도 모르다 ▶ I was afraid he might have lost his way home. 그가 집에 오는 길을 잃어버리지나 않았나 하고 걱정했다.
▶ I said that it might rain. 나는 비가 올지도 모른다고 말했다. 《I said, “It may rain.”으로 고쳐 쓸 수 있음》
▶ You might be right. 네가 옳을지도 모른다.
b [허가를 나타내어] …
해도 좋다 ▶ I told him that he might go. 나는 그에게 가도 좋다고 말했다. 《I said to him, “You may go.”로 바꿔 쓸 수 있음》
c [의문문에서 불확실의 뜻을 강조하여] (도대체) …
일까[
할까]
▶ She asked what the price might be. 그녀는 대관절 가격이 얼마냐고 물었다. 《She said, “What may the price be?”로 고쳐 쓸 수 있음》
2 [목적·결과를 나타내어] [과거형의 주절의 시제의 일치에 따라 종속절의 may가 과거형으로 쓰여] …
하기 위해, …할 수 있도록
▶ Tom worked hard so that his mother might enjoy her old age. 톰은 어머니가 노후에 즐겁게 사실 수 있도록 열심히 일하였다.(cf. MAY 3)
3 [양보를 나타내어]
a [뒤에 등위접속사 but를 동반하여] …
이었는지[
하였는지]
모르지만(cf. MAY 4)
▶ He might be rich but he was not refined. 그는 부자였는지는 몰라도 세련되지는 못하였다.
b [양보를 나타내는 부사절에서]
비록 …
하였[
이었]
을지라도 ▶ Difficult as it might be, we managed to do it. 아무리 그것이 어려운 것일지라도 우리는 그것을 결국 해내었다.
━ B[가정법에서]
1 [현재의 사실과 반대되는 가정에서]
a [허가를 나타내어] …
해도 좋다(
면)
▶ I would go if I might. 가도 좋다면 가겠는데.
b [현재의 추측을 나타내어] …
할지도 모르다 ▶ I might do it if I wanted to. 하고 싶으면 할 수 있겠지만 (사실은 하지 않는다).
▶ You might fail if you were lazy. 게으르면 실패할지도 모른다.
c [might have+p.p.로 과거 사실에 반대되는 추측의 가정의 귀결절에] …
하였을지도 모르다 ▶ I might have come there if I had wanted to. 가고 싶었더라면 갈 수 있었겠지만 (사실은 가지 않았다).
2 [조건절의 내용을 내포한 주절만의 문장에서; 완곡하게]
a [가벼운 부탁·허물없는 제안을 나타내어] …
해주겠나, …하면 어떨까
▶ You might post this for me. 이것 좀 우체통에 넣어주겠나. 《이 용법으로 may를 쓰지 않음》
▶ We might ask him to be chairman. 그에게 의장이 되어 달라고 부탁하면 어떨까.
b [비난·유감의 뜻을 나타내어] …
하여도 좋을 텐데 ▶ You might at least apologize. 적어도 사과쯤은 해도 좋을 텐데.
▶ I might have been a rich man. (마음만 먹었으면) 부자가 될 수 있었을 텐데 (그러나 이제는 늦다).
c [may보다 약한 가능성을 나타내어] (어쩌면) …
인지도 모르다 ▶ It might be true. 어쩌면 사실인지도 모른다.
▶ Things might be better. 상황은 호전될지도 모른다.
▶ It’s so quiet (that) you might hear a pin drop. 핀이 떨어지는 소리라도 들릴 정도로 조용하다.
d [may보다 정중한 허가를 나타내어] …
해도 좋다 ▶ Might I speak to you for a moment? 잠깐 말씀 드려도 되겠습니까?
▶ “Might I come in?”─“Yes, certainly.” 들어가도 되겠습니까?─예, 들어오세요. 《May I ...?보다 정중한 표현, 독립절로는 의문문으로만 쓰이고 You might come.으로 쓰지 않음》
e [타당성을 일부 인정하여] …
해도 나쁜 것은 아니다 ▶ You might say that. 그렇게도 말할 수 있다.
f [의문문에서 불확실한 기분을 나타내어] (도대체) …일까[할까]
▶ How old might she be? 그녀는 대관절 몇 살이나 될까?
as might be[
have been]
expected (1) [문 전체를 수식하여] 예상한 대로[바이지만], 아니나 다를까:As might have been expected he got angry with his son. 예상한 바이지만 그는 아들에게 화를 냈다. (2) 과연 …이니 만큼 《of》:as might be expected of a scholar 과연 학자이니 만큼
might (
just)
as well do (
as ... )⇒ well
1 ad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