의미:
that 
that는 지시대명사·형용사·부사로서 지시사의 기능을, 접속사·관계대명사로서 연결사의 기능을 가진다. 지시사로서 that는 this에 비해 장소·시간적으로 좀 떨어져 있거나 비교적 먼 것을 가리킨다.
(1) 지시사로서 that는 this와 대조적으로 쓰는 용법 이외에 명사의 반복을 피하여 그 대신에 쓰는 용법이 있다:The climate is like that of Italy. 기후는 이탈리아의 그것과 비슷하다.
(2) 관계대명사 that는 사람·사물 양 쪽에 다 쓰며 특히 선행사가 다른 어구로 한정되어 있을 경우에 쓴다. 전치사 다음에 놓지 않는 것이 원칙이며 비제한적 용법으로 쓰는 일은 드물다. 한편 관계부사적으로 쓰는 that는 종종 생략한다.
(3) 접속사로서 (a) 명사절을 이끈다. (b) 그 밖의 절을 이끈다.
that a., pron., ad., conj.
A(opp. this)
━
a. 《지시형용사》 (pl.
those)
1a [떨어져 있는 것[사람]을 가리켜]
저, 그
▶ You see that dog. (가리키면서) 저 개가 보이지요.
▶ that lady over there 저쪽의 저 여인
▶ What is that loud noise? 저 시끄러운 소리는 뭐야?
b [먼 때·곳을 가리켜]
저, 저쪽의, 그
▶ at that time 그때(에)
▶ in that country 그 나라에서는
▶ that day[night, morning] 그날[그날 밤, 그날 아침] 《★ 종종 부사적으로도 씀》
c [this와 상관적으로]
저 ▶ He went to this doctor and that. 그는 여기저기의 의사에게 진찰을 받았다.
▶ This watch is better than that one. 이 시계가 저것보다 낫다.
2a [대화자끼리 이미 알고 있는 것[사람, 양]을 가리켜]
저, 그
▶ that car of yours 당신의 저 차 《★ 보통 your that car 또는 that your car라고는 하지 않음》
▶ That hundred dollars helped me greatly. 그 백 달러는 크게 도움이 되었다. 《★ dollars는 복수이지만 한 단위의 금액이기 때문에 단수형 that를 썼음》
b [칭찬·경멸 등의 감정을 담아서]
그, 저, 예(例)의
▶ that dear (of my wife) 나의 사랑하는 아내
▶ Here comes that smile! 또 그 (얄궂은) 웃음을 짓는군!
▶ We’re getting tired of that Bill. 저 빌은 이제 지긋지긋하다.
c [관계사절에 의한 한정을 미리 지시하여] 그 《★ 우리말로는 강하게 번역할 필요가 없음》
▶ Have you listened to that tape (which) I gave you? 내가 준 테이프 들어 봤니?
that there 《속어》 저, 그(that)
━ pron. 《지시대명사》 (pl.
those)
1a [this와 대조적으로 저쪽에 떨어져 있는 것을 가리켜]
그것, 저것 《★ this와는 달리 that는 보통 지적해서 사람에 쓰지 않음; cf. that man》
▶ This is better than that. 이것은 저것보다 좋다.
▶ That is the man I wanted to see. 저쪽이 내가 만나고 싶어하는 사람이다.
▶ This is my sister and that is my cousin. 이쪽이 나의 누이이고 저쪽이 나의 사촌이다.
▶ That was the best time. 그때쯤이 가장 좋다.
▶ “Is that Mary?”-“Yes, speaking.” 《영》 [전화에서] 메리입니까?-예, 그렇습니다. 《★ that의 서먹서먹함을 피하여 this를 쓰는 경향이 있음》:Is this Mary?
b [앞서 언급하였거나 서로 양해되어 있는 사물을 가리켜]
그 일, 그것
▶ All that is nonsense. 그런 것은 모두 허튼소리다.
▶ After that things changed. 그 후 사정이 달라졌다.
▶ That’s what I want to say. 내가 말하려는 것이 바로 그것이다.
▶ That’ll be[That comes to] ten dollars. 10달러 되겠습니다. 《★ 상인이 대금을 청구할 때 등에 하는 말》
▶ That will do. 그것이면 된다; 그만하면 됐다.
c [저편에 있는, 또는 화제에 오른 사람을 가리켜]
저 사람, 그 사람; 거기 있는 사람
▶ That’s Alice. 저이는 앨리스다.
▶ Who’s that? 거기 누구니?
▶ That’s a good boy. [시키는 대로 한 아이를 보고] 착한 아이구나.
2a [앞서 말한 명사의 반복을 피하기 위해] (…의)
그것 《★ one과는 달라서 the+명사(복수형은 those)의 대용이며 (다음 용례에서는 those=fashions) 대개 전치사구가 따름》
▶ This year’s fashions are quite different from those of last year. 올해의 유행은 작년의 것과는 전혀 다르다.
b [앞의 진술(의 일부)을 강조적으로 되풀이하여]
그렇고말고 ▶ “Is Michael capable?”-“He’s that.” 마이클은 유능한가?-그렇고말고. 《★ Yes, he is.나 So he is.보다 강조적》
▶ ⇒ and THAT
3 [관계대명사 which의 선행사로] (…하는 바의)
것, 일 《★ that which는 what로 바꾸어 쓸 수 있음;단 there is 구문에서는 that와 which가 분리되는 수가 있음》
▶ That which is bought cheaply is the dearest. 《속담》 싸구려를 사면 돈만 버린다. 《싼 것이 비지떡》
▶ There is that about him which mystifies one. 그에게는 무언가 사람을 미혹하는 부분이 있다.
4 [this와 상관적으로]
전자(the former)
▶ Dogs are more faithful animals than cats; these attach themselves to places, and those to persons. 개는 고양이보다 충실한 동물이다. 후자는 장소에 애착을 갖고 전자는 사람에게 애착을 갖는다.
▶ Work and play are both good for the health; this gives us rest, and that gives us energy. 일과 놀이는 다같이 건강에 유익하다; 후자는 휴식을 주고 전자는 활력을 준다.
and all that ⇒ all
a.and that (1) [앞 문장 전체를 받아서] 그것도:She forgets things, and that very often. 그녀는 사물을 잊어버린다, 그것도 번번히 말이야. (2) 《영·속어》 =and ALL that
at that (1) 그대로, 그 정도로:We left it at that. 우리는 그것을 그 정도로 해 두었다. (2) 《미·구어》 여러모로 생각해 봐도, 그럼에도 불구하고:You may be right, at that. 생각해 보니 자네 말이 옳은 것 같다. (3) 게다가, 더구나, 그것도:She broke a dish, and the finest one at that. 그녀는 접시를 깼다, 그것도 제일 좋은 것을. (4) =with THAT
be that as it may 그것은 별것 아니지만, 어쨌든
Come[
Get]
out of that! 《속어》 비켜라; 그만둬; 꺼져버려!
for all that …에도 불구하고
(
Is)
that so? 그래요, 정말인가요?
It is that. [상대방의 말에 맞장구쳐서] 정말로 그렇습니다.
like that (1) 그처럼, 그와 같이, 저런 식으로:Don’t talk like that. 그런 식으로 말하지 마라. (2) 《구어》 문제없이, 수월하게:He did the job just like that. 아주 간단하게 그 일을 해치웠다.
not care[
give]
that for ... 《구어》 …따위는 (딱 손가락을 울리면서) 요만큼도 상관않다
Take that! 《구어》 맛 좀 봐라, 이거나 먹어라! 《때리면서 하는 소리》
that being so 그런 까닭으로
That does it! 《구어》 이젠 글렀어[망했다]; 이젠 충분하다, 더는 못참겠다[못하겠다]!
that is (
to say) 즉 말하자면
That's all. 그것이 전부다; 그뿐이야.
That's ... For you. 《구어》 …이란 그런 것이다.
That's it. 《구어》 (그래) 그것이다, 그렇다; 그것이 전부다(That’s all.); 그것이 문제다.
That's right[
so]
. 《구어》 그래 맞았어, 그렇소.
that's that 《구어》 그것으로 끝났다[결정났다]:I won’t go and that’s that. 안 간다면 안 가는 줄 알아라./He said we couldn’t do it, so that’s that. 하지 못한다고 그가 말했으니까 그것으로 끝장이다.
that's what it is 바로 그렇다
That will do. 그것으로 되겠다[쓸 만하다]; 이제 그만하시오, 그만하면 됐어.
this and (
...)
that ⇒ this pron.
this, that and the other ⇒ this pron.
upon that 그러자 (곧)
with that 그렇게 말하고; 그리하여, 그리고 나서:“May you be very happy!” he said, and with that he left. 그는 「행복을 빕니다!」라고 말했다, 그리고 나서 떠났다.
━ [ðæt]
ad. 《지시부사》
1 《구어》 [수량·정도를 나타내는 말을 한정하여]
그만큼, 그렇게(so), 그 정도로
▶ Are you sure she’s that young? 정말 그녀가 그렇게 젊다는 거냐?
▶ He only knows that much. 그는 그 정도밖에 모른다.
▶ My arm doesn’t reach that far. 내 팔은 그렇게 멀리까지 닿지 않는다.
2 [종종 all that로; 대개 부정문에서] 《구어》 그다지 (…않다), 그렇게까지 (…않다)
▶ She isn’t all that rich. 그녀는 그렇게 부자는 아니다.
▶ The novel wasn’t all that good. 그 소설은 그렇게까지 우수한 것은 아니었다.
that much 그만큼, 그 정도(의)(⇒
ad. 1); [부정문에서] 그다지:I don’t like tennis that much. 나는 테니스를 그다지 좋아하지 않는다.
━ B[ðət]conj.
1 [명사절을 이끌어]
a [주절을 이끌어] …
이라는[
하다는]
것은 ▶ That Father did not scold me surprised me. 나는 아버지께서 나를 꾸중하시지 않는 것에 놀랐다.
▶ It’s true that we were a little late. 우리가 조금 늦은 것은 사실이다. 《★ 종종 that절은 선행하는 it로서 대표됨; 그 경우에 that가 생략되기도 함》:It’s certain (that) she’s rich. 그녀가 부자인 것은 틀림없다.
b [보어절을 이끌어] …
하다는[
이라는]
것인 《★ 종종 that가 생략되기도 함》
▶ The trouble is that we are short of money. 난처한 것은 우리가 돈이 모자란다는 것이다.
▶ The plain fact is, he has been cheating us. 분명한 사실은 그가 우리를 속이고 있었다는 것이다.
c [목적절을 이끌어] …
하다는[
이라는]
것을 《★ 비교적 평이한 짧은 문에서는 that가 생략됨》
▶ I heard (that) you’ve been abroad. 네가 외국에 갔다온 것을 들었다.
▶ She warned me that I should be more careful. 그녀는 내가 더 조심해야 한다고 경고했다.
d [동격절을 이끌어] …
이라는, …하다는 《★ that를 생략하는 일은 없음》
▶ There was no hope that she would recover her health. 그녀가 건강을 회복하리라는 희망은 전혀 없었다.
▶ The actress hid the fact that she was married. 그 여배우는 결혼한 사실을 숨기고 있었다.
e [형용사·자동사 등에 이어지는 절을 이끌어] …
이라는[
하다는]
것을 《★ 문법적으로는 부사절로도 간주되지만, 의미상으로 타동사 상당 어구로 간주하여 명사절로 침》
▶ I am afraid (that) she will not come. 그녀는 오지 않으리라고 생각한다.
▶ I am very happy (that) you have agreed to my proposal. 당신이 내 제의에 동의해 주어서 나는 매우 기쁩니다.
▶ I’m sorry that your father is sick. 춘부장께서 아프시다니 안됐습니다.
2 [부사절을 이끌어]
a [so[such] ... That의 형태로 정도·결과를 나타내어] (너무) …
하므로, …할 만큼 《★ 《구어》에서는 that를 생략함》
▶ The meeting became so disorderly that the speaker had to shout into the microphone. 회의는 매우 무질서해져서 연설자는 마이크를 향해 큰 소리를 내야 했다.
▶ He is not so poor that he cannot buy it. 그는 그것을 사지 못할 만큼 가난하지는 않다.
▶ There was such a crowd (that) we could hardly move. 사람이 엄청 많아서 우리는 거의 움직이지 못했다.
b [(so) that, in order that의 형태로 목적을 나타내어] …
하도록, …하기 위해 《★ that절 안에서 may[might]를 쓰는 것은 격식 차린 표현이며, can, will[could, would]이 쓰임; 또한 《구어》에서는 that가 흔히 생략됨》
▶ Turn it so that I can see it. 내가 볼 수 있도록 그것을 돌려주시오.
▶ He took a taxi so that he wouldn’t be late. 그는 지각하지 않기 위해 택시를 탔다.
▶ Come early in order that you may see him. 그를 만날 수 있도록 일찍 오시오.
c [원인·이유] …
이므로, …때문에
▶ I’m glad (that) you (should) like it. 네가 마음에 든다니 기쁘다.
▶ If I complain it is that I want to get justice. 내가 불평하는 것은 정당하게 대우 받기를 원하기 때문이다.
▶ Not that I object. 그렇다고 해서 내가 반대하려는 것은 아니다.
d [that절 안에 종종 should를 써서 판단의 기준을 나타내어] …
이다니, …하다니
▶ You are crazy that you should lend money to him. 그에게 돈을 꾸어주다니 너 미쳤구나.
▶ Who is he, that he should come at such an hour? 이런 시간에 오다니 그는 도대체 어떤 사람이냐? 《무엄하게도》
e [대개 부정어 뒤에서 제한하는 절을 이끌어] (…하는)
한에는, (…하는) 바로는 《★ 이 용법의 that는 그 자체는 관계대명사이며, 뒤의 타동사나 전치사의 목적어 구실을 함》
▶ There is no one like him that I can see. 내가 보는 한에는 그이 같은 사람은 없다.
▶ No one knows anything about it, that I can find. 내가 아는 한 아무도 그 일을 모른다.
▶ “Is she married?─Not that I know (of).” 그녀는 결혼했나?─내가 아는 바로는 안했어.
3 [It is[was] ... That ...의 형태로 부사(구)를 강조하여] …
한[
인]
것은 《★ 부사 어구의 강조 구문의 경우이며, 명사 어구의 강조 구문은 관계대명사(⇒ C 3)》
▶ It was on Monday that it happened. 그것이 일어난 것은 월요일이었다.
▶ It was not until he was fifty that he started to write. 그는 50세가 되어서야 비로소 글을 쓰기 시작했다.
4 [감탄문을 이루어]
a [that절 안에 should를 써서 놀람·분개를 나타내어] …
하다니 ▶ That he should behave like this! 그가 이 따위 짓을 하다니!
▶ That he should betray us! 그가 우리를 배신하다니!
b [that절 안에 가정법 과거형을 써서 소원을 나타내어] 《문어》 …한다면 좋을 텐데
▶ Oh, that I were in England now. 아, 지금 잉글랜드에 있다면 좋을 텐데.
▶ Would (that) we were there! 그곳에 있기만 한다면 (좋으련만)!
but that ... ⇒ but conj. B2b, 3; prep. 2
in that ... ⇒ in
prep.not that ... ⇒ conj. 2c, e
now that ... ⇒ now conj.
━ C[ðət]pron. 《관계사》
1 [사람·사물을 나타내어 선행사를 받아서 대개 제한 용법으로] (…하는[인])
바의 《[USAGE] 선행사가 사물·사람을 나타낼 경우에, 최상급 형용사, all the, the only, the same, the very 등의 제한적인 어구를 포함하고 있을 때, 또 선행사가 의문대명사나 all, much, little, everything, nothing 등일 때에 흔히 쓰이는데, 단 절대적인 것은 아님; 사람의 경우에는 who, 사물의 경우는 which도 씀》
a [주어]
▶ He is the greatest novelist that has ever lived. 그는 전대미문의 대소설가다.
▶ the first man that came here 여기에 맨 먼저 온 사람
▶ I know the very person that will do the job quickly. 나는 그 일을 신속하게 할 안성맞춤인 사람을 알고 있다.
▶ He will do anything that you ask him to. 그는 당신이 해 달라고 하는 일은 무엇이든지 할 것이다.
▶ This is all that matters. 관계가 있는 것은[중대한 것은] 다만 이것뿐이다.
b [보어]
▶ She is not the woman that her mother was. 그녀는 옛날의 그녀 어머니 같은 여인이 아니다.
▶ Fool that I am! 나는 정말 바보로구나!
c [타동사·전치사의 목적어로서] 《★ that는 흔히 생략됨; 전치사는 관계사절 안의 동사 뒤에 놓임》
▶ This is the watch (that) I bought yesterday. 이것은 어제 내가 산 시계이다.
▶ Is this the farm (that) they spoke of? 이것이 그들이 말한 농장입니까?
2 [때·방법·이유 등을 나타내는 명사를 선행사로 하여 관계부사적으로] (…하는, …인)
바의 《★ 종종 that는 생략됨》
▶ The last time (that) I saw her, she was quite well. 그녀는 내가 전번에 만났을 때 아주 건강했다.
▶ It was snowing (on) the day (that) he started. 그가 출발한 날은 눈이 오고 있었다.
▶ This is the reason that he came. 이것이 그가 온 이유이다.
▶ Nobody likes the way (that) you behave. 자네의 행동 방식은 아무도 좋아하지 않는다. 《★ the way 다음의 that는 보통 생략됨》
3 [It is[was] ... That ...의 형태로 명사 (어구)를 강조하여] …
하는 것은 《★ 명사 어구의 강조 구문인 경우이며, 부사 어구의 강조 구문은 접속사(⇒ B 3); 《구어》에서 that는 흔히 생략됨》
▶ It was on this very spot that I first met my wife. 내가 처음으로 아내를 만난 곳은 바로 이 장소이다.
▶ It is you that are to blame. 나쁜 것은 너(희들) 쪽이다.
▶ It’s you (that) I rely upon. 내가 의지하고 있는 쪽은 당신이오.
▶ What kind of work is it (that) you want? 당신이 원하는 것은 어떤 일입니까?
▶ Where exactly was it that they met? 그들이 만난 곳이 정확히 어디입니까?
that is[
that was, that is to be] 현재의[과거의, 장래의]…:Do you know Mrs. Brown―Miss Hart that was? 브라운 부인을 아십니까?―그전의 하트 양 말입니다./Miss Hart, Mrs. Brown that is to be 앞으로 브라운 부인이 될 하트 양