의미:
could 
can의 과거형인 could는 현대 영어에는 직설법 과거로 쓰는 것보다는 가정법에 쓰는 경우가 많다.
① 과거의 때를 가리키는 것이 문맥상 밝혀지지 않은 경우에 could는 가정법 과거형의 뜻이 되는 것이 보통이므로 직설법의 뜻으로는 could 대신에 was[were] able to나 managed to 혹은 succeeded in …ing를 쓰는 일이 많다.(⇒ A1
(USAGE))
② could는 과거의 어떤 시기에 습관적으로 「…할 수가 있었다」고 할 때에는 쓰이지만, 종종 한 번만 「할 수 있었다」 할 때는 쓰지 않는다. 따라서 John was able to win the game.(존은 그 경기에 이길 수가 있었다)고는 할 수 있으나, John could win the game.이라고는 할 수 없다.(⇒ A1 ★)
③ 허가·부탁의 의문문에서 can보다 정중한 표현으로 쓰인다:Could I go home? 집에 가도 되겠습니까?(⇒ B3c)
could〔OE의 can
1의 과거형에서; -l-은 would, should로부터의 유추(類推)에 의해 삽입된 것〕 auxil.
v. CAN
1의 과거형 《★ 부정형
could not; 단축형
couldn't[kúdnt]》
━ A(직설법에서 쓰여)
1 [능력·가능·경향·허가 등을 나타내는 can의 과거형으로 쓰여] …
할 수가 있었다 《[USAGE] 부정문의 경우와 feel, hear 등의 지각동사와 함께 쓰이는 경우, 습관적 의미를 나타내는 경우는 제외하고서, 긍정문의 could는 B3의 용법과의 혼동을 피하기 위하여, 대신으로 was[were] able to, managed to, succeeded in ...ing를 씀》
▶ I listened closely but could not hear a[any] sound. 귀를 기울였지만 아무런 소리도 들리지 않았다.
▶ She could be very unpleasant at times. 그녀는 때때로 매우 퉁명해질 때가 있었다.
▶ When I lived by the station I could (always) reach the office on time. 역 가까이에 살고 있을 때는 (언제나) 시간에 맞춰 회사에 도착할 수가 있었다. ★ 습관적이 아닌 특정한 경우에는 could를 쓰지 않고 I was able to reach the office on time this morning. 등과 같은 식으로 말함.
2a [과거형인 주절의 시제와 일치되기 위해 종속절 중의 can이 과거형으로 쓰여] …
할 수 있다, …하여도 좋다
▶ He thought he could swim across the river. 그는 헤엄쳐서 그 강을 건널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.
b [간접화법에서 can이 과거형으로 쓰여] …할 수 있다, …하여도 좋다
▶ He said (that) he could swim. 수영할 수 있다고 그는 말했다.(cf. He said, “I can swim.”)
▶ He asked me if he could go home. 그는 집에 돌아가도 좋으냐고 내게 물었다.(cf. He said to me, “Can I go home?”)
━ B(가정법에서 쓰여)
1a [현재의 사실에 반대되는 조건절, 또는 소망을 나타내는 명사절에 쓰여] …
할 수 있다(
면)
▶ I would do it if I could. 내가 할 수 있다면 할 텐데(실제로 할 수가 없다).
▶ How I wish I could go with you! 참말로 너와 함께 가고 싶은데(갈 수가 없다)!
b [could have+p.p.로; 과거의 사실에 반대되는 조건절, 또는 소망을 나타내는 명사절에 쓰여] …
할 수 있었다(
면)
▶ I would have made a note if only I could have found a pencil. 연필을 발견할 수 있었더라면 쪽지를 써 놓았을 텐데(실제로 발견하지 못했다).
▶ I wish I could have been there. 그곳에 가보고 싶었는데(실제로 가지 못했다).
2a [현재의 사실에 반대되는 가정의 귀결절에 쓰여] …
할 수 있을 것이다[
텐데]
▶ I could do it if I wanted (to)[would]. 하려고 마음 먹으면 할 수 있을 텐데(실제는 하지 않는다).
b [could have+p.p.로; 과거의 사실에 반대되는 가정의 귀결절에 쓰여] …
할 수 있었을 텐데 ▶ I could have done it if I had wanted[wished] to. 하려고 마음 먹었으면 할 수 있었을 텐데(실제는 안했다).
3a [조건절의 내용을 언외(言外)에 함축한 주절만의 문장에서; 완곡적으로] …
할 수 있을 텐데, …하고 싶을 정도이다; …하는 것이나 마찬가지다[같다]
▶ I couldn’t sew it. 나로서는 도저히 꿰맬 수 있을 것 같지 않다. 《★ even if I tried를 보충해서 생각할 것》
▶ That could be true. 그것이 어쩌면 정말일지도 모른다.
▶ The report couldn’t be true. 그 보고는 정말일 리가 없다.
▶ I could be drinking water. (술 등이 싱거워서) 마치 물을 마시고 있는 것 같다.
b [could have+p.p.로; 조건절의 내용을 언외에 함축한 주절만의 문장에서; 완곡적으로] …
할 수 있었을 텐데, …하고 싶을 정도였다; …하는 것이나 마찬가지였다[같았다]
▶ You could have told me! 말해 주었더라면 좋았을 텐데 (왜 말해 주지 않았는가)!
▶ I could have danced for joy. 기뻐서 덩실덩실 춤을 추고 싶었다.
▶ He could have been speaking to a large audience. 그는 많은 청중에게 이야기하고 있는 것 같았다.
c [허가·부탁을 나타내는 의문문에서] …
하여 주시겠습니까, …하여도 괜찮겠습니까 《★ can보다 더 공손한 표현》
▶ Could you come and see me tomorrow? 내일 만나러 와 주시겠습니까?
▶ Could I borrow your pen? 펜 좀 빌려도 되겠습니까?
▶ Couldn’t we get together next week? 다음 주 우리 만나면 어떻겠습니까?
could be 《구어》 그럴지도 (모른다), 아마 (그럴 거야) 《★ it could be so의 생략에서》:“Do you have to work late today?”─“Could be.” 자네 오늘 늦게까지 일을 해야 하나?─아마 그럴 거예요./“Are we lost?”─“Could be.” 길을 잃은 것일까?─그럴지도 몰라.
could (
very)
well …어쩌면 …인지도 모른다:She could well be a doctor. 어쩌면 그녀는 의사인지도 몰라.
How could you (
do …)
? 《구어》 감히[용케도] …하다니.
I couldn't. 이제 그만 됐습니다[충분합니다]. 《음식의 권유를 받고서 정중히 사양하는 말》
Who could have thought? 《구어》 [놀람을 나타내어] (그런 것은) 누구도 생각해 낼 수 없었을 것이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