의미:
have 
have의 용법은 크게 (1) 「가지다, 하다」 등의 뜻을 나타내는 본동사와, (2) 동사의 과거분사와 결합하여 완료형을 만드는 조동사의 둘로 나누어진다.
① 본동사 have는 《미》에서는 부정·의문 다 같이 조동사 do를 사용하여 일반동사로 취급하는 것이 보통이나, 전통적인 영국 영어에서는 습관적이 아닌 상태동사로서의 have만은 변칙동사 (be 같은)로 취급한다. 그러나 최근에는 영국 영어에서도 《미》처럼 이 have를 일반동사로 취급하는 경향이 많아졌다.
② 조동사 have는 《미·영》 다 같이 변칙 정형동사로 취급되며, 의문문에서는 주어 앞에 놓이고 부정문에서 do를 취하지 않는다.
③ 긍정 평서문의 경우, 구어에서는, 특히 완료의 조동사로서는 I have→I’ve, he has→he’s처럼 단축하기 쉽다. 그러나 구어라도 본동사로서 주어나 have가 조금이라도 강세를 받을 때는 단축하지 않는다:Hè has a good cámera./Yés, I have.
have〔hæv; 《약하게》 həv, əv〕 v.,
n.━ v. (
had[hæd];
hav·ing) 《★ 3인칭 단수 현재형
has; 《고어》 2인칭 단수 현재형(thou)
hast, 2인칭 단수 과거형(thou)
hadst; 단축형
I've, he's, I'd 등, 부정 단축형
haven't, hasn't, hadn't》
vt.━ A[USAGE] (1) 《구어》에서는 have got를 종종 씀. (2) 의문·부정에는, 일반적으로 《미》에서는 Do you have …?, I do not have[don’t have] ...처럼 조동사 do를 쓰며, 《영》에서는 Have you ...?, I have not[haven’t] ... (또는 Have you got ...?, I haven’t got ...)처럼 do를 쓰지 않음. (3) 이 의미의 have는 보통 진행형이나 수동형이 없음.
1 (물적 소유[소지]의 뜻으로)
가지고 있다
a <…을>
가지고 있다, 소유하다
▶ 《have+목(+부)》 He has a pen (in his hand). 그는 (손에) 펜을 갖고 있다.
▶ I have a car and so does[has] Bill. 나는 자동차를 가지고 있는데, 빌 역시 그러하다.
▶ I have little property. 나는 재산이 거의 없다.
▶ He has a lot of money. 그는 돈이 많다.
▶ She has a book under her arm. 그녀는 책을 옆구리에 끼고 있다.
▶ The store has foreign goods for sale. 그 상점에서는 외제품을 팔고 있다.
▶ He has a large room to himself. 그는 큰 방을 독점하고 있다.
b <…을> (몸에 지녀)
가지고 있다,
몸에 지니고 있다 《about, on, with, around》(cf. HAVE on)
▶ 《have+목+전+명》 He doesn’t have any money with[on, about] him. 그는 가진 돈이 없다.
▶ She had a scarf around her neck. 그녀는 목에 스카프를 두르고 있었다.
c [종종 목적어에 형용사적 용법의 to 부정사와 함께] <…해야 할[할 수 있는] 일·시간 등을>
가지고 있다, 주어져 있다
▶ You have the right to vote. 당신은 투표할 권리가 있습니다.
▶ Do you have[Have you] anything to declare? (세관에서) 무언가 신고할 물건이 있습니까?
▶ We have a long way to go. 먼 길을 가야 한다.
▶ I have nothing to do. 할 일이 없다.
2 (어떤 인간 관계를 나타내어)
가지고 있다
a <육친·친구 등이>
있다, <…이> 있다; <고용인 등을> 두고 있다
▶ They have two[no] children. 그들에게는 두 아이가 있다[아이가 없다].
▶ She has a nephew in the navy. 그녀에게는 해군에 가 있는 조카가 있다.
▶ He has a kind boss. 그의 상관은 친절한 사람이다.
▶ The merchant has a large staff of clerk. 그 상인은 많은 점원을 거느리고 있다.
b <동물을> (애완용으로)
기르고 있다 ▶ He has a pet dog. 그에게는 애완견이 있다.
3 (부분·속성으로서)
지니고 있다
a <사람이> <신체 부분·신체 특징·특질·능력 등을> 지니고[가지고] 있다, <아무는> <…이> 있다
▶ She has a sweet voice. 그녀는 아름다운 목소리를 가지고 있다. 《★ 이 구문에서는 「그녀는 아름다운 목소리를 지녔다」, 「그녀는 목소리가 아름답다」라고 옮길 수가 있음》
▶ He has a big nose. 그는 큰 코를 가지고 있다.
▶ I have no ear for music. 나는 음악을 이해하지 못한다.
▶ Man has the ability to think. 인간은 사고할 능력이 있다.
b <물건이> <부분·부속물·특징 등을>
가지고 있다, (…에는) <…이>
있다, <…을> 포함하고 있다, 갖추고 있다
▶ My house has four rooms. 우리 집에는 방이 4개 있다. 《There are four rooms in my house.로 바꿔 쓸 수 있음》
▶ How many months does a year have[has a year]? 1년은 몇 개월인가?
▶ A week has seven days. 일주일은 7일이다.
▶ That hall has excellent acoustics. 그 홀은 음향이 뛰어나다.
▶ The book has an index. 그 책에는 색인이 있다.
▶ His company has a good name. 그의 회사는 좋은 이름을 가졌다.
4a <감정·생각 등을> (마음에)
품고 있다, 가지고 있다
▶ Do you have[Have you (got)] any questions? 무슨 질문이 있습니까?
▶ I’ve no idea[notion] about[as to] his plan. 그의 계획에 관해서는 알지 못한다.
▶ She has a great love for music. 그녀는 음악을 무척 좋아한다.
▶ I have a good feeling toward you. 나는 너에 대해서 좋은 감정을 가지고 있다.
b <원한 등을> (…에 대하여)
품다 《against》
▶ 《have+목+전+명》 She has a prejudice against you. 그녀는 너에게 편견이 있다.
▶ He has a grudge against her. 그는 그녀에게 원한을 품고 있다.
c <감정 등을> (…에 대하여 태도·행동으로)
나타내다 《on, for》
▶ 《have+목+전+명》 Have some consideration for others. 남에 대한 배려를 보여라.
▶ They have no pity on us. 그들은 우리에게 동정을 나타내지 않는다.
d [목적어로 「the+추상명사+to do」를 수반하여] <(…하는) 친절[용기 등]이>
있다 ▶ He had the kindness to carry my baggage for me. 그는 친절하게도 내 짐을 날라 주었다. 《★ He was kind enough to carry my baggage for me.로 바꿔 쓸 수 있음》
▶ She had the impudence to refuse my proposal. 그녀는 무례하게도 내 제의를 거절했다.
▶ Have the kindness to help me. 부탁이오니 좀 도와주십시오. 《★ 상대가 마음에 들지 않을 때의 공손한 명령적 표현》
▶ He had the goodness to pass me the salt. 그는 친절하게도 내게 소금을 건네 주었다.
5 <병 등에>
걸리다[
걸려 있다], <…을>
앓다, 시달리다
▶ have a slight[bad] cold 가벼운[지독한] 감기에 걸려 있다
▶ have a headache[(a) toothache] 머리[이]가 아프다
▶ have diabetes[gout] 당뇨병[통풍]을 앓다
▶ He had a heart attack. 그는 심장 발작을 일으켰다.
▶ Doctor said he had a broken leg. 의사는 그의 다리가 골절되었다고 말했다.
━ B[USAGE] 《미·영》 다 같이 의문·부정문에는 조동사 do를 씀:Do you have a bath every day? (날마다 목욕을 하니?)/Did you have a good time? (즐거운 시간을 보냈니?)/How often do you have your hair cut? (이발은 얼마나 자주 하니?)
1 손에 넣다 《진행형 없음; a만 수동형이 가능》
a <…을>
얻다,
받다, 사다
▶ have a part in a play 연극에서 배역을 받다
▶ You may[can] have it for the asking. 달라고만 하면 얻을 수 있다.
▶ He has 2,000 dollars a month. 그는 한 달에 2,000달러를 번다.
▶ Have a seat, please. 자, 앉으세요.
▶ Nothing venture, nothing have. ⇒ venture
vt. ▶ The book was nowhere to be had. 그 책은 어디서도 구할 수 없었다.
b (…에게서) <…을>
얻다,
받다 《from》
▶ 《have+목+전+명》 He had a letter[telephone call] from his father. 그는 아버지로부터 편지[전화]를 받았다.
c <…을> (골라) 잡다[가지다]
▶ I’ll have that green skirt. 그 초록색 치마로 하겠습니다.
d <정보 등을>
입수하다[
하고 있다], 들어서 알다[알고 있다]
▶ May I have your name, please? 성함을 말씀해 주시겠습니까?
▶ I had it from a reliable source. 믿을 만한 소식통에게서 그것을 입수했다.
▶ That’s all I’ve ever had from Mary herself. 그것이 당사자인 메리에게서 들었던 전부이다.
▶ ⇒ HAVE it (3)
2a <식사 등을>
하다, 들다; <음식물을>
먹다,
마시다; <담배를> 피우다 《★ 진행형·수동형 가능》
▶ I am having breakfast[lunch, supper]. 나는 아침[점심, 저녁]식사를 하고 있다.
▶ Breakfast can be had at seven. 아침 식사는 7시에 드실 수 있습니다.
▶ Will you have another cup of tea? 차를 한 잔 더 드시겠습니까?
▶ What did you have for lunch? 점심으로 무엇을 먹었지?
▶ Have a cigar. 여송연을 한 대 태우시지요.
b <음식물을 …하여> 먹다
▶ 《have+목+보》 How do you have your steak? 스테이크는 어떻게 요리해서 먹습니까?
▶ I like to have my steak well-done. 스테이크는 잘 익힌 것을 좋아합니다.
3 [보통 동작·행위를 나타내는 부정관사가 달린 명사를 목적어로 하여] 《구어》 <…을>
하다, 행하다, 종사하다 《★ (1) 진행형 가능, 수동형 불가 (2) have got은 쓰이지 않음》
▶ have a dance 춤추다
▶ have a drive 운전하다
▶ have a swim 수영하다
▶ have a walk 산책하다
▶ have a rest 쉬다
▶ have a dream 꿈을 꾸다
▶ have a fight 일전을 벌이다
▶ have a talk[an argument] with …와 이야기[토론]를 하다
▶ have a haircut 이발을 하다
▶ have another try 다시 한 번 해보다
▶ have a bath 목욕하다
▶ Let’s have a drink. 한 잔 하자.
4a <…을>
경험하다, <사고 등을> 당하다 《★ 진행형 가능, 수동형 불가》
▶ have fun[trouble] 즐기다[고생하다]
▶ have an adventure 모험을 하다
▶ have an accident 사고를 당하다
▶ I’m having trouble with the computer. 컴퓨터에 애를 먹고 있다.
▶ I’m having an operation next week. 다음 주에 수술을 받게 된다.
▶ We had a lot of rain yesterday. 어제 비가 많이 왔다.
▶ Have a nice day. 잘 가시오[있어요]. 《★ 헤어질 때의 인사》
▶ Have a nice trip. 즐겁게 여행하고 와요.
b <시간 등을>
보내다, 지내다 《★ 진행형·수동형 가능; 단 예외적이며 고정적 표현》
▶ have a good[bad] time 재미있게 보내다[혼이 나다]
▶ We were having a good time. 우리는 즐거운 시간을 보내고 있었다.
5 <회합 등을>
가지다, 개최하다 《★ 진행형 가능》
▶ have a party[conference] 파티[회의]를 열다
▶ have a game 경기를 하다
▶ We are having a picnic tomorrow. 내일 소풍을 간다.
6 <…을> (손님 등으로)
맞다, 초대하여 (…에) 오게 하다, 대접하다 《★ 진행형은 가까운 장래의 일만을 나타냄; 수동형 불가》
▶ Thank you for having us. 초대해 주셔서 감사합니다.
▶ I had all my friends for[to] my birthday party. 모든 내 친구들을 생일 파티에 초대했다.
7 <사람·동물이> <아이·새끼를>
낳다, 출산하다 《★ 진행형은 가까운 장래의 일만을 나타냄; 수동형 불가》
▶ She is[We are] having a baby in April. 4월에 그녀[우리]에게는 아기가 태어난다.
▶ He had two daughters by that woman. 그는 그 여자와의 사이에 딸이 둘 있었다.
8a <…을> 붙잡아 놓다, 붙잡다 《★ 진행형·수동형 불가》
▶ Now I have you. 이제 널 붙잡았다.
b 《구어》 (경기·토론 등에서) <…을> 지게 하다, 패배시키다, 해치우다 《★ 진행형·수동형 불가》
▶ I had him in the argument. 토론에서 그를 해치웠다.
▶ You have me there. 내가 졌다. 《네 말이 맞다》; 그것은 (몰라서) 대답을 못하겠네.
c 《구어》 <…을> 속이다; 매수하다 《★ 보통 수동형으로 쓰임》
▶ You have been had. 너 보기좋게 당했구나.
▶ He will never realize that he is being had. 그는 자기가 속고 있다는 것을 결코 깨닫지 못할 것이다.
9 《구어》
a <여자를> 제것으로 만들다, <여자와> 성교하다 《★ 진행형 가능, 수동형 불가》
b [have sex로] (…와) 성교하다 《with》
10 [have oneself로] 《미·구어》 <…을> 즐기다
▶ 《have+목+목》 have oneself a time[steak] 즐겁게 지내다[스테이크를 즐기다]
11 《고어》 <언어·과목 등을> 알고 있다, 지식이 있다, 숙달하고 있다 《★ 진행형·수동형 불가》
▶ have neither English nor French 영어는 물론 프랑스어도 모르다
━ C《★ 수동형 불가》
1a <…을> (…의 위치·상태로)
유지하다, …인 채로 두다
▶ 《have+목+전+명》 He had his back to me. 그는 등을 나에게 돌리고 있었다.
▶ He had one thumb in his mouth. 그는 엄지손가락을 입에 넣고 있었다.
▶ He had the sun at his back. 그는 해를 등지고 있었다.
▶ The limousine had us at the palace in ten minutes. 리무진이 10분 후에 우리를 왕궁으로 데려다 주었다.
▶ Have pencil and paper near you. 가까이에 종이와 연필을 준비해 놓아라.
▶ I had him there to help me. 나를 도울 수 있도록 그를 그곳에 있게 하였다.
▶ They had their heads out (of the window). 그들은 (창문) 밖으로 머리를 내놓고 있었다.
b <…을> <…하게>
하다 ▶ 《have+목+보》 I want to have my room clean and tidy. 방을 깨끗하게 정돈해 놓고 싶다.
▶ I’ll have him a good doctor. 나는 그를 훌륭한 의사가 되도록 하겠다.
c <사람·물건을> <…하게>
해두다; <…에게> <…하도록>
만들다 ▶ 《have+목+
-ing》 If you give an all-night party, you’ll have the neighbors complaining. 밤샘 파티를 열면 이웃 사람들의 항의를 받을 것이다.
▶ I have several problems troubling me. 몇 가지 문제로 골치가 아프다.
▶ He had us all laughing. 그는 우리 모두를 웃겼다.
2a <사물·사람을> …
하게 하다, <…을>
시키다 ▶ 《have+목+
done》 When did you last have your hair cut? 지난번에 머리를 깎은 것은 언제였지?
▶ He had his political enemies imprisoned. 그는 자신의 정적들을 투옥시켰다.
▶ They had him investigated by a detective. 그들은 탐정에게 그를 수사하도록 했다.
▶ You should have your head examined[tested, seen to]. 《구어》 머리가 어떻게 되었나 진찰을 받아보지 그래. 《어찌 그런 짓을 할 수 있단 말이냐!》
b <…을>
당하다 《★ 주어가 무언가를 경험한다는 의미를 나타내는 수동태로, 이를 경험 수동형이라고 함; cf. His wallet was stolen.》
▶ 《have+목+
done》 He had his watch stolen. 그는 손목시계를 도둑 맞았다.
▶ I had my hat blown off. 내 모자가 바람에 날아갔다.
c <…을>
…해버리다, 마치다 《★ 완료를 나타내며, 《미·구어》에서 자주 쓰임》
▶ 《have+목+
done》 She had little money left in her purse. 그녀의 지갑에는 돈이 거의 남아 있지 않았다.
▶ They had a map spread (out) on the desk. 지도를 책상 위에 펼쳐 놓고 있었다.
▶ Have your homework done by eight p.m. 오후 8시까지 숙제를 마치도록 하여라.
3a <…에게> …
시키다, …하게 하다 《★ make만큼은 강하지 않은 사역을 나타냄》
▶ 《have+목+
do》 Have him report. 그로 하여금 보고토록 하라.
▶ He had them wait in the cab. 그는 그들을 택시 안에서 기다리게 했다.
▶ Have him come here at five. 그를 5시에 여기로 오게 하시오.
b [will, would와 함께] 《문어》 <…에게> 꼭 <…해> 달라고 하고 싶다
▶ 《have+목+
do》 What would you have me do? 나에게 무엇을 시키고 싶으세요?
c <사람·사물에게> <…을> 당하다 《★ 사역의 뜻이 약하며, 경험의 뜻에 가까운 표현》
▶ 《have+목+
do》 Tom had a man rob him last night. 톰은 어젯밤 어떤 남자에게 돈을 빼앗겼다. 《★ Tom was robbed by a man last night.란 표현이 더 일반적임》
▶ Have you ever had a policeman ask you questions before? 경찰관에게 심문 당해본 적이 있는가?
4 [보통 1인칭 주어와 함께 써서; will, can의 부정형 또는 진행형으로]
a <…을> 용납하다, 참다
▶ I won’t have any noise[fighting] here. 여기서는 소음[싸움]을 허용하지 않겠다.
▶ We’ll have no more of that. 그런 일은 더 이상 용납할 수 없다.
b <…할 것을> 용납하다, 참다
▶ 《have+
-ing》 I am not having singing here. 여기서 노래하는 것을 용납할 수는 없다.
c <…이> <…하는 것을> 용납하다, 참다
▶ 《have+목+
-ing》 I won’t have him speaking in that way. 그가 그런 식으로 말하는 것을 용납하지 않겠다.
▶ I can’t have you playing outside with that cold! 감기가 그 모양인데 밖에 나가 놀게 할 수 없다! 《★ can’t를 쓰게 되면 종종 「상대를 위해 좋지 않으므로 그렇게 하게 할 수는 없다」의 뜻이 됨》
d <…이> <…당하는 것을> 용납하다, 참다
▶ 《have+목+
done》 We won’t have him insulted. 그가 모욕을 당하는 것을 가만 있지 않겠다.
e <…이> <…하는 것을> 용납하다, 참다
▶ 《have+목+
do》 I won’t have her answer me back. 그녀가 내게 말대꾸하는 것을 용납하지 않겠다.
━ vi. 재산이 있다, 돈을 가지고 있다
▶ those who have and those who have not 가진 자와 못 가진 자
All one
has to do
is ... <…이> 해야 할 일의 전부는 …, <…이> 할 것이라고는 …뿐이다 (cf. HAVE to)
be had 사기당하다
be had up 당국에 고소당하다, 고발되다
had as good[
well] do …하는 것도 좋을 테지; …하는 편이 좋다
have a ball ⇒ ball
2have a feel for ⇒ feel
have a fit ⇒ fit
2Have after! 뒤를 따르라!
have and hold 【법】 보유하다
have an eye on ⇒ eye
have at 《고어》 …을 공격[비난, 비판]하다; (일에 적극적으로) 착수하다:Let us have at him. 그를 해치우자./I’ll have at the files tomorrow. 내일 파일 조사에 착수하겠다.
have back 《★ 수동형 불가》 (1) <빌려준 것을> 돌려받다, 되찾다:When can I[can you let me] have my money back? 언제 내 돈을 돌려주겠느냐? (2) <헤어진 남편[아내]·애인·동료 등을> 다시 맞아들이다 (3) <환대하여 준 사람에게> 답례의 초대를 하다
have a thing
by one …을 자기 곁에 두다
have done with …이 끝나다, 필요없게 되다, 그만두다
have down (시골 등으로) <…을> 맞아들이다, 초대하다 《★ 수동형 불가》 (cf. HAVE up):They had him down for a week. 그들은 그를 일주일간 초대했다. ★ down은 ‘도시에서 시골로’의 뜻을 나타냄.
have had 《구어》 …에 진저리가 나다, 싫증이 나다:I have had his story. 그의 이야기는 이제 질렸다.
have had it 《구어》 (1) 《미》 진저리가 나다, 질리다, 지긋지긋하다:I’ve had it with him. 그라면 이제 지긋지긋하다. (2) 《미》 이제 끝장이다, 글렀다:If he’s caught, he’s had it. 붙잡히면 그는 이제 끝장이다./You’ve had it! 기대해 봤자 소용없다, 이제 끝장이다! (3) 고물이 다 되었다, 쓸모없게 되다; 한창때가 지나다:This gas stove has really had it. 이 가스 난로는 이제 고물이 다 되었다. (4) 죽임을 당하다; 지다, 패하다
have in 《★ 수동형 불가》 (1) <직공·의사 등을> (집·방안으로) 들이다, 부르다; <…을> (집으로) 잠깐 맞아들이다, 초대하다 (2) <물건을> (집·상점 등에) 저장[비축]하여 두다, 사재다
have it (1) 이기다, 유리하다:The ayes have it. 찬성자가 다수이다. (2) [I를 주어로 하여] <답 등을> 알다:I have[I’ve got] it! 알았다, 그래 그것이야! (3) (…에게서) 들어서 알다[알고 있다] 《from》:I have it from him[from the horse’s mouth]. 그[본인]에게서 들어서 안다. (4) [진행형 불가] (…라고) 표현하다, 말하다, 확언하다, 주장하다:Rumor has it that ... …라는 소문이다/They will have it so. 그들은 끝까지 그렇게 주장한다./As Socrates has it ... 소크라테스가 말한 바와 같이… (5) [have it one’s own way로] (어떤 방식으로) 일을 하다:Have it your own way. (더 이상 말 않겠다) 네 마음대로 하렴. (6) [will[would]와 함께; 부정문에서] 인정하다, 받아들이다:I tried to apologize but he would not have it. 나는 사과를 하려고 하였지만 그는 결코 받아들이지 않았다. (7) <운명 등이> 지배하다:⇒ as LUCK would have it (8) 《구어》 (탄환 등에) 맞다; 응징당하다, 혼나다, 꾸지람 듣다:I let him have it. 그를 혼내 주었다.
have it away 《영·속어》 (…와) 성교하다 《with》
have it coming (
to one) 《구어》 <특히 벌·비난 등을>받아 마땅하다, 그것은 당연한 보답이다:I had it coming. 이렇게 되는 것이 당연했다, 자업자득이다.
have it good 《구어》 유복하다; 즐거운 시간을 보내다:We have never had it so good. 우리는 이렇게 좋았던 적이 없었다.
have it in for a person 《구어》 <…에게> 원한을 품다, <…을> 싫어하다; 트집을 잡다:She has it in for Americans. 그녀는 미국 사람을 싫어한다.
have it in one (
to do) 《구어》 (…할) 소질[능력, 용기]이 있다:They didn’t think he had it in him to do that. 그들은 그가 그것을 할 만한 사람이라고 생각하지 않았다.
have it made 《구어》 만사형통이다, 성공할 것이 틀림없다
have it off 《영·속어》 (…와) 성교하다 《with》; 《영·속어》 도둑질하다
have it out 《구어》 (…와) 거리낌없이 토론하다; 토론[싸움]으로 결말을 내다 《with》
have it out of a person 《구어》 <…을> 벌받게 하다, <…에게> 앙갚음하다
have it over[
on] (…에서 상대보다) 유리하다; (…의 점에서 상대보다) 우위에 있다:He has it over me that he has a college diploma and I don’t. 그는 대학 졸업장이 있고 나는 없다는 점에서 그가 우위에 있다.
have kittens ⇒ kitten
have none of …을 용납치 않다
have nothing on 《구어》 (1) 《익살》 (…보다) 조금도 나은 점이 없다 (2) <경찰이> (…의) 유죄의 증거[불리한 정보]를 갖고 있지 않다 (3) 아무것도 걸칠 것[예정]이 없다
have off 《★ 수동형 불가》 (1) <요일 등을> 쉬다, 휴무로 하다:We have Wednesday off. 수요일은 쉰다[휴무이다]. (2) 《영》 <…을> 떼다, 벗다:have one’s hat off 모자를 벗다 (3) <…을> 절단하다, 자르다:This knife may have your finger off. 이 나이프로 손가락을 자를지도 모른다. (4) <…을> 암기하고 있다:I have the whole poem off. 그 시는 완전히 암기하고 있다. (5) <…을> 보내다, 부치다:I’ll have the package off in the next mail. 다음 편에 그 소포를 보내겠다. (6) 《주로 영》 흉내내다
have on 《★ (5) 이외는 수동형 불가》 (1) <옷·모자·구두 등을>
걸치고 있다, 입고[쓰고, 신고] 있다:She has gloves on. 그녀는 장갑을 끼고 있다. (2) (…에는) <약속·할 일 등이> 있다, <회합·준비·계획 등을> 예정하고 있다; <일 등에> 묶여 있다:Do you have anything on this evening? 오늘 저녁에 무슨 약속이 있느냐?/What do you have on for Christmas? 크리스마스에 무슨 계획이 있니?/I have nothing on (for) tonight. 오늘밤에는 아무 예정도 없다. (3) <전등·라디오 등을> 켜 놓고 있다 (4) [보통 진행형으로] 《영·구어》 <남을> 놀리다, 속이다:Don’t have me on! 날 놀리지 마라. (5) ⇒ A1b (6) <남>에게 불리한 <…을> 쥐고 있다:⇒ HAVE nothing on (2); HAVE something on
have out 《★ 수동형 불가》 (1) <…을> 밖으로 내다[내놓고 있다] (2) <이·편도선 등을> 뽑게[절제하게] 하다:He’s having a tooth out. 그는 이를 뽑게 했다[뽑았다]. (3) <조명 등을> 꺼 두다 (4) (…와의 사이에서) <문제 등을> 철저하게 토론하다, (…에) 결말[매듭]을 짓다, 해결하다《with》:⇒ HAVE it out. (5) 《영》 <수면 등을> 끝까지 계속하다, 중단되지 않다:Let him have his sleep out. (저절로 잠에서 깰 때까지) 그를 아주 푹 자게 하여라. (6) 초대하다 《for》
have over 《★ 수동형 불가》 (1) <…을> (집에) 손님으로 맞이하다 (2) <…을> 전복[전도]시키다:You’ll have the sailboat over if you are not careful. 조심하지 않으면 요트는 전복한다. (3) (…보다 어떤 점에서) 우위에 있다:What does he have over me? 그는 어떤 점에서 나보다 나은가?/⇒ HAVE it over (4) <싫은 일을> 마치다; 《영·구어》 속이다
have round =HAVE over (1)
have something on a person …의 약점을 쥐고 있다
have something[
nothing, little, etc.]
to do with … …와 조금 관계가 있다[전혀, 거의 《등》 관계가 없다]
have the last laugh ⇒ laugh
have things well in hand ⇒ hand
have to do[be] 《보통 have to는 [hæftə (자음 앞), hæftu (모음 앞)], has to는 [hæstə (자음 앞), hæstu (모음 앞)], had to는 [hættə (자음 앞), hættu (모음 앞)]로 발음됨》 (1) …
하여야 하다, …하지 않으면 안 되다 《[USAGE] (1) must는 과거형으로 쓰일 경우 또는 다른 조동사의 뒤에 올 경우 등에는 용법상 제약이 있기 때문에 have to가 대신 쓰임 (2) have to는 must보다 객관적인 사정에 의한 필요를 나타내는 데 알맞을 뿐만 아니라, 말의 느낌이 부드러움》:I have to do something. 무언가를 해야만 한다./I have to study hard. 열심히 공부해야 한다./I have to leave now. 지금 가야만 한다./Do you have to go?=《영》 Have you (got) to go? 가지 않으면 안 되는가?/You will have to get up early tomorrow morning. 너는 내일 아침 일찍 일어나야 할 것이다. (2) [부정문에서] …할 필요가 없다 《★ do not have to[have not to]와 must not의 차이에 주의》:We don’t have[《영》 haven’t (got)] to bring our lunch tomorrow. 내일 도시락을 싸 올 필요가 없다. (3) [have to be, have to have been으로] 《구어》 <…임에> 틀림없다, 틀림없이 …일 것이다:You have to be joking. 농담하는 것임에 틀림없다, 농담이겠지요./There has to be some reason. 어떤 이유가 있음에 틀림없다.
have to do with ⇒ do
1have up (1) (위층·높은 지대·도시 등으로) <…을> 맞이하다[불러오다, 청하다] 《★ 수동형 불가》(cf. HAVE down) (2) 《영·구어》 <…을> 법정으로, 호출하다; (…으로) <남을> 고소하다, 기소하다 《for》:I’ll have him up for drunken driving. 그를 음주 운전으로 기소하겠다./He was had up for offering bribes. 그는 뇌물 증여로 고소당했다. (3) <물체를> 올리다, 올려놓고 있다, <천막 등을> 치다 《★ 수동형 불가》:The shops had their shutters up. 상점은 셔터를 올려놓고 있었다. (4) 책임을 묻다
let a person
have it ⇒ let
not having any 《구어》 ⇒ any pron.
to have and to hold [명사에 후치하여] 법적으로 소유하다; 평생 소유하다:On her father’s death, the villa was hers to have and to hold. 아버지가 돌아가시자 그 별장은 법적으로 그녀의 소유가 되었다.
will have it that ⇒ HAVE it (4)
You have me there. 내가 손들었어.
You shouldn't have! 뭐 이렇게까지! 《선물받을 때의 인사말》
━ n.
1 [pl.; 보통 the have] 유산자(有産者), 가진 자; (자원·핵 등의) 보유국, 가진 나라
▶ the nuclear haves 핵보유국
2 《영·구어》 사기, 협잡; 놀리는 가벼운 농담
the haves and (
the)
have-nots 유산자와 무산자; 가진 나라와 못 가진 나라(cf. HAVE-NOT)
━ auxil. V. [həv, v; hæv] (변화형은 v.와 같음) 《★ 동사의 과거분사와 결합하여 완료형을 만들며, 「완료·결과·경험·계속」 등의 뜻을 나타냄》
1 [현재완료, have+과거분사]
a [현재에 일·행동이 끝나고 있음을 뜻하는 완료] …
하였다, 해버렸다, …
한 참이다 《★ 종종 just, now, already, recently, (의문·부정문에서는) yet 등의 부사를 동반함》
▶ I have just written it. 방금 그것을 썼다[써버렸다].
▶ Have you finished yet? 이제 끝냈느냐?―Yes, I have. 네, 끝냈습니다.―No, I haven’t. 아니오, 끝내지 못했습니다.
▶ The plane has taken off now. 비행기가 금방 이륙했다.
b [결과] …
했다, …
해버렸다, …
하고 말았다 ▶ He has[He’s] gone. 그는 가버렸다. 《지금 여기에 없다》
▶ She has grown![Hasn’t she grown!] 많이 컸구나![성장했구나!]
▶ I have lost my watch. 시계를 잃어버렸다. 《지금 없다》
c [경험] …
한 일[
적]
이 있다 《★ 종종 ever, never, before (now) 등의 부사를 수반함》
▶ She has not[hasn’t] seen a real tiger. 그녀는 실물 호랑이를 본 일이 없다.
▶ This is the biggest animal that I have ever seen. 이것은 내가 지금까지 본 것 중에서 가장 큰 동물이다.
▶ Have you ever been to Paris? 파리에 가본 적이 있니?
d [계속] (
죽) …
해오고 있다, (줄곧) …하고 있다, …해왔다 《★ 보통 「상태」를 나타내는 동사와 함께, 또는 완료진행형으로 쓰이고, 「기간」을 나타내는 부사구를 수반하는 경우가 많음》
▶ I have known him since childhood. 그를 어린 시절부터 알고 지낸다.
▶ I have [I’ve] been learning English for ten years. 영어를 배우기 시작한 지 10년이 되었다.
e [부사절에서 미래완료의 대신으로 쓰여]
▶ Let’s have tea after we have finished the work. 일을 끝내고 나서 차를 마십시다.
2 [과거완료, had+과거분사]
a [과거 어떤 때에 일어난 동작의 완료·결과]
▶ Had he finished it when you saw him? 네가 그를 보았을 때 그는 그것을 끝마쳤더냐?─Yes, he had. 예, 끝마치고 있었습니다.─No, he hadn’t. 아뇨, 끝마치지 못하고 있었습니다.
b [과거의 어떤 때까지의 동작·상태의 계속]
▶ I had been there for an hour when before you arrived. 네가 도착하기 전까지 한 시간 동안 거기에 있었다.
c [과거의 어떤 때까지의 경험]
▶ She had never seen it before. 그녀는 그때까지 그것을 본 적이 없었다.
d [과거의 어떤 때보다 먼저 일어난 일]
▶ He lost the watch his uncle had given him as a birthday present. 그는 숙부에게서 생일 선물로 받은 시계를 잃어버렸다.
e [가정법에 쓰여]
▶ Had I known[If I had known] his address, I wouldn’t have done it. 만약 내가 그의 주소를 알았더라면 그것을 하지 않았을 텐데.
▶ He would have come if you had invited him. 네가 그를 초청했었더라면 그는 왔을 텐데.
f [expect, hope, intend, mean, think, want 등의 동사와 함께 「실현되지 못한 희망·의도」 등을 나타내어]
▶ I had intended to write a letter, but I ran out of time. 편지를 쓸 생각이었으나, 시간이 없었다.
3 [미래완료, will[shall] have+과거분사]
a [미래의 어떤 때까지의 완료]
▶ I shall[He will] have finished it by the time she comes back. 그녀가 돌아올 때까지는 나[그]는 그것을 끝내 놓고 있을 게다.
b [미래의 어떤 때까지의 동작·상태의 계속]
▶ I’ll have been here for three years next month. 나는 다음달이면 여기에 있은 지 3년이 된다.
4 [완료부정사]
a [주(主)동사보다 앞선 때]
▶ He seems[seemed] to have been ill. 그는 병을 앓고 있었던 것 같다[같았다]. 《★ It seems[seemed] that he was[had been] ill.로 바꿔 쓸 수 있음》
b [조동사와 함께 과거·완료의 일에 언급하여]
▶ He should[ought to] have asked me. 그는 나에게 물어봤어야 했다[했는데 하지 않았다].
▶ He may have left last Monday. 그는 지난 월요일에 출발했는지도 모른다.
▶ It’s six o’clock; they will[should] have arrived home by now. 여섯 시다, 그들은 지금쯤은 집에 도착해 있을 테지. 《★ will은 「미래」가 아니라 「추측」의 뜻; cf. auxil. V. 3》
c [「희망·의도·예정」 등을 나타내는 동사의 과거형 뒤에 쓰여 「실현되지 못한 사항」을 나타내어]
▶ I should like to have seen the movie. 그 영화를 보고 싶었는데 (그러지 못했다). 《★ I should have liked to see[to have seen] the movie.로 바꿔쓸 수 있음》
▶ She was to have bought some stamps. 그녀는 우표를 사올 예정이었는데 (잊었다).
d [claim, expect, hope, promise 등의 뒤에 쓰여 「미래에 완료할 사항」을 나타내어]
▶ He expects[hopes] to have finished by May. 그는 5월까지는 끝낼 생각으로 있다[끝낼 수 있기를 바라고 있다]. 《★ He expects[hopes] that he will have finished by May.로 바꿔 쓸 수 있음》
5 [완료분사; 보통 분사구문으로] …
하고 나서, …
하였으므로, …하였기 때문에
▶ Having finished his coffee, he went out. 그는 커피를 다 마시고 나서 외출했다.
▶ Having failed twice, he didn’t want to try again. 그는 두 번이나 실패하였기 때문에 더 이상 시도할 생각은 없었다.
6 [완료동명사] …했던 일, 한 일
▶ I could not remember having seen her before. 나는 전에 그녀를 보았던 일을 기억할 수 없었다.
have been around ⇒ around
have done with ⇒ do
1have got 《★ (1) 《구어》에서는 have got은 have의, have got to는 have to의 대용이 됨; (2) 일반적으로 have got (to)는 have (to)보다도 강조적》 《구어》 (1) 가지고 있다(have):I’ve got twenty dollars. 20달러를 가지고 있다./Jane hasn’t got blond hair. 제인은 금발을 하고 있지 않다./“Have you got your ticket?”─“Yes, I have [《미》 Yes, I do].” 승차권이 있습니까?─예, 있습니다.(cf. “Do you HAVE your ticket?”─“Yes, I do.”)/I’ve got a kettle boiling now for tea. 차를 넣기 위해 지금 주전자의 물을 끓이고 있다.(cf.
v. C1c) (2) <…>
해야 하다(have to):I’ve got to pay the bill. 대금을 치르지 않으면 안 된다./You’ve got to go home. 너는 집에 가야 한다. (3) [부정문에서] <…할> 필요가 없다(need not):We haven’t got to work this afternoon. 오늘 오후에는 일을 하지 않아도 된다. (4) 《미》 <…임에> 틀림없다, 틀림없이 <…일> 것이다(must):It’s got to be the milkman. 우유 배달원임에 틀림이 없다./You’ve got to be kidding. 농담이시겠지.
[USAGE] (1) have[has] got은 보통 단축되어 ’ve got[’s got]의 형이 됨. 또 특히 《미》의 구어적인 표현에서는 have[has]를 생략하고 got만을 단독으로 쓰는 경우가 있음(cf. GOTTA):I got an idea. 한 가지 생각이 있다./You got to see a doctor. 의사의 진찰을 받아야 한다. (2) have got은 다음과 같은 경우를 제외하고는, 조동사의 뒤나 부정사[분사, 동명사]형에서는 일반적으로 쓰지 않음; 또 명령문에서도 쓰지 않음:He may have got[seems to have got] a key to the car. 그는 차의 열쇠를 가지고 있는지도 모른다[있는 것 같다]. (3) 특히 《미》에서는 과거의 had (to) 대신에 had got (to)를 쓰는 경우는 드묾 (4) 위 용법에서 《영》에서는 got 대신에 gotten을 쓰지 않으나, 《미》에서는 종종 씀:He hasn’t got a ticket. 표를 가지고 있지 않다.(cf. He hasn’t gotten a ticket. 표를 입수하지 못하고 있다, 표를 사지 못했다.)